반응형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의 건축물의 열손실 방지를 위해 거실의 외벽,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바닥, 층간 바닥 등에 단열재를 사용해야 합니다. 단열재는 각 지역별로 두께 기준이 정해져 있습니다. 각 지역별 단열재 두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축물의 열손실방지 -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바로보기(2021.07)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 따라 건축물의 열손실방지를 위한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이 정해져 있습니다. 이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건축
단열, 단열재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단열을 기준에 맞게 해야 합니다. 단열이란 해당 물체의 열 저항을 높여서 열의 전도를 막거나 낮춰주는 것을 말합니다. 건축물에서 내외부의 열의 흐름을 막게 되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에너지의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건축물에 이러한 단열 효과를 주는 재료를 단열재라고 합니다.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에서는 지역별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단열재의 두께 및 열관류율에 대한 기준을 정해놓았습니다. 지역은 총 4개로 나누어 구분합니다.
- 중부 1 지역 : 강원도(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삼척 제외), 경기도(연천, 포천, 가평, 남양주, 의정부, 양주, 동두천, 파주), 충청북도(제천), 경상북도(봉화, 청송)
- 중부 2 지역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인천광역시, 강원도(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삼척), 경기도(연천, 포천, 가평, 남양주, 의정부, 양주, 동두천, 파주 제외), 충청북도(제천 제외), 충청남도, 경상북도(봉화, 청송, 울진, 영덕, 포항, 경주, 청도, 경산 제외), 전라북도, 경상남도(거창, 함양)
- 남부지역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상북도(울진, 영덕, 포항, 경주, 청도, 경산), 경상남도(거창, 함양 제외)
- 제주도
각 지역별 단열재의 두께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역별 단열재 두께
[중부 1 지역]
(단위: mm)
단열재의 등급 건축물의 부위 |
단열재 등급별 허용 두께 | ||||||
가 | 나 | 다 | 라 | ||||
거실의 외벽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220 | 255 | 295 | 325 | |
공동주택 외 | 190 | 225 | 260 | 28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150 | 180 | 205 | 225 | ||
공동주택 외 | 130 | 155 | 175 | 195 | |||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220 | 260 | 295 | 33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155 | 180 | 205 | 230 | |||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215 | 250 | 290 | 320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195 | 230 | 265 | 29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145 | 170 | 195 | 220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135 | 155 | 180 | 200 | |||
바닥난방인 층간바닥 | 30 | 35 | 45 | 50 |
[중부 2 지역]
(단위: mm)
단열재의 등급 건축물의 부위 |
단열재 등급별 허용 두께 | ||||||
가 | 나 | 다 | 라 | ||||
거실의 외벽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190 | 225 | 260 | 285 | |
공동주택 외 | 135 | 155 | 180 | 20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130 | 155 | 175 | 195 | ||
공동주택 외 | 90 | 105 | 120 | 135 | |||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220 | 260 | 295 | 33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155 | 180 | 205 | 230 | |||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190 | 220 | 255 | 280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165 | 195 | 220 | 24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125 | 150 | 170 | 185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110 | 125 | 145 | 160 | |||
바닥난방인 층간바닥 | 30 | 35 | 45 | 50 |
[남부지역]
(단위: mm)
단열재의 등급 건축물의 부위 |
단열재 등급별 허용 두께 | ||||||
가 | 나 | 다 | 라 | ||||
거실의 외벽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145 | 170 | 200 | 220 | |
공동주택 외 | 100 | 115 | 130 | 14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100 | 115 | 135 | 150 | ||
공동주택 외 | 65 | 75 | 90 | 95 | |||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180 | 215 | 245 | 27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120 | 145 | 165 | 180 | |||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140 | 165 | 190 | 210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130 | 155 | 175 | 19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95 | 110 | 125 | 140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90 | 105 | 120 | 130 | |||
바닥난방인 층간바닥 | 30 | 35 | 45 | 50 |
[제주도]
(단위: mm)
단열재의 등급 건축물의 부위 |
단열재 등급별 허용 두께 | ||||||
가 | 나 | 다 | 라 | ||||
거실의 외벽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110 | 130 | 145 | 165 | |
공동주택 외 | 75 | 90 | 100 | 11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공동주택 | 75 | 85 | 100 | 110 | ||
공동주택 외 | 50 | 60 | 70 | 75 | |||
최상층에 있는 거실의 반자 또는 지붕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130 | 150 | 175 | 190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90 | 105 | 120 | 130 | |||
최하층에 있는 거실의 바닥 | 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105 | 125 | 140 | 155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100 | 115 | 130 | 145 | |||
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
바닥난방인 경우 | 65 | 80 | 90 | 100 | ||
바닥난방이 아닌 경우 | 65 | 75 | 85 | 95 | |||
바닥난방인 층간바닥 | 30 | 35 | 45 | 50 |
이상으로 건축물의 열손실방지와 지역별 단열재 두께를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건축 및 부동산 > 건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틀랜드 시멘트 종류, 특징, 용도 (0) | 2021.07.19 |
---|---|
PHC 파일 특징 및 구조 성능 (0) | 2021.07.18 |
철근 표기 롤링마크 및 태그 (0) | 2021.07.17 |
철근 종류와 강도, 강종 및 호칭 규격 (2) | 2021.07.16 |
건축물의 열손실방지 -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표 바로보기(2021.07) (0) | 2021.07.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