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정보 나눔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45

열관류율(U 값, 열전달계수)의 정의 및 특성 물질의 열전달 특성에 대해 알기 위해서 또는 건축물의 단열재와 관련하여 알아야 하는 것 중 하나인 열관류율(U 값, 열전달계수)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 열관류율(U 값, 열전달계수) 열관류율(heat transmission coefficient)은 U값(U-value) 또는 열전달계수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열관류율은 건축물의 벽, 지붕, 창문 등의 건축물을 구성하는 각 요소가 열을 얼마나 잘 전달하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계수입니다. 이 값은 단위 면적당, 단위 시간당, 실내와 실외 간 온도 차이를 기준으로 열이 얼마나 빨리 전달되는지를 나타냅니다. 열관류율(열전달계수)는 건축물 요소를 구성하는 재료의 열전도율과 각 재료의 두께, 단열재 두께 등을 알면 구할 수 있습니다.. 2023. 3. 28.
열전도율의 정의 및 특성 건축물의 단열재 두께 등을 계산하기 위해 열전도율을 알아야 합니다. 열전도율의 정의 및 특성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 ​ 열전도율 thermal conductivity 열전도율(thermal conductivity)은 물질이 열을 전달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물리적인 특성 중 하나입니다. 지구상의 물질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열에 의해 분자나 전자 등이 진동하면서 열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열전도율은 이러한 열전달 능력을 물리적으로 수치화한 것으로,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을 통해 전달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값을 나타냅니다. 열전도율의 단위는 보통 W/m·K(와트/미터·켈빈)을 사용하며, 이는 단위 면적당 단위 두께를 가진 물질이 일정한 온도 차이에 따라 단위 시간당 전달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단.. 2023. 3. 28.
허가권자 지정감리 범위와 감리협의회 감리(건축주 지정 감리) 대상 건축허가 후 착공 신고에서는 감리를 지정해야 합니다. 용도, 면적, 공사 시공자에 따라 감리 지정 대상이 달라집니다. 허가권자 지정감리 범위와 감리협의회 감리(건축주 지정감리) 대상 알아보겠습니다. ​ ​ 감리 지정 대상 변경 건설산업기본법 41조가 2018년 8월 14일 개정됨으로써 2019년 2월 15일부터 허가권자 지정 공사 감리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용도, 면적, 공사 시공자에 따라 감리 지정 대상이 나누어지며, 단독주택, 공관, 기숙사를 제외한 주택으로 사용하는 모든 건축물이 허가권자 지정 감리 대상이 됩니다. 단독주택은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제1호가목을 말함으로써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다가구주택이 모두 허가권자 지정감리 대상입니다. 건축주 지정감리 대상 (감리협.. 2023. 3. 7.
공공건축물 및 일반건축물 설계의도구현 대상 및 대가 비용 계산 그동안 설계자는 건축허가 이후 시공과정에서 배제되어 왔습니다. 설계자의 설계 의도를 공사 과정에 검토하고 참여시키기 위한 것이 설계의도구현입니다. 공공건축물 및 일반건축물 설계의도구현 대상 및 대가 비용 계산 알아보겠습니다. ​ ​ 설계의도구현 그동안 건축사는 설계를 하고 나면 시공과정에서 참여가 힘든 편이었습니다. 이에 설계자의 설계의도를 현장에 잘 녹이기 위해 마련한 것이 설계의도 구현제도입니다. 건축법 제25조 제12항에 이러한 제도가 신설되어 2018년 8월 14일 이후 시행되고 있습니다. 일반건축물 외에도 공공건축물에서도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에 따라 공공기관에서 발주하는 공공건축물의 경우 설계 건축사가 공사에 참여하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설계자의 의도가 도면에 모두 표현될 수 있기에는 한계.. 2023. 2. 24.
건축물관리법 개정에 따른 해체공사 허가 신고 대상 및 절차 건축물을 철거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해체공사에 대해 신고나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건축물관리법 개정에 따른 해체공사 허가 신고 대상 및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 건축물 해체공사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던 '건축물 철거'의 명칭이 건축물관리법 등을 통해 철거 대신 해체라는 용어를 사용해 '건축물 해체'라고 부릅니다. 최근 노후화된 건축물에 대한 재건축과 재개발 등으로 많은 건축물이 해체되고 있는 와중에 붕괴사고 등으로 인해 건축물의 해체 공사에서 구조 안정성과 해체 전반의 안전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이에 건축물관리법 개정을 통해 건축물 해체공사를 신고와 허가로 구분하고 해체공사의 해체계획서 작성과 해체 공사 감리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건축물 해체공사의 허가와 신고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3. 1. 11.
2023년 적용 2022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엔지니어링 기술자 평균임금) 2022년 12월 발표된 2023년 적용 2022 엔지니어링 노임단가 (엔지니어링 기술자 평균임금) 알아보겠습니다. 2022년보다 일평균 약 10% 정도 증가, 월평균 3~4% 증가되었습니다. ​ ​ 2022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 발표 엔지니어링 노임단가는 매년 엔지니어링산업진흥법에 의거해 신고 된 엔지니어링 사업자로부터 수집된 노임을 기초 자료로 작성됩니다. 기술부분의 전문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2022년 엔지니어링업체 임금실태조사에서는 일부 변경사항이 있었습니다. 가장 큰 부분은 임금 산출 시 1개월 근무일수 산출의 일수를 근로기준법에 따라 산출해 1개월 근무일수는 22일이 적용되던 것을 20.6일로 조정했습니다. 2022년은 2021년에 비해 평균임금이 월평균은 약 3~4%, 일평균은 약 1.. 2022. 12. 30.
반응형